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京城日報

하위사료계열 AJP021_01_04
하위 자료 보기
하위 자료 전체 건수
  • 사료철 : 232 건
생산기간

1915 ~ 1945

소장자(처)

국립국회도서관(國立國會圖書館)

소장자(처)상세

国立国会図書館

사료이력

京城日報는 조선총독부의 일본어 기관지이다. 일본 국회도서관에 경성일보가 원 신문과 그의 MF 형태로 소장되어 있는데 그 중 1915년 9월부터 1945년까지의 자료를 2004년 국편에서 수집하였다. 모두 232롤이 수집되었으며 MF 롤 단위로 목록을 정리하였다. 1940년 10월까지는 거의 누락이 없으나 1940년 11월부터는 결본이 많다. 일본 국회도서관의 청구기호는 원본이 新-1070이며 MF가 YB-96이다.

해제

아래의 해제는 국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근현대신문자료의 해제를 그대로 옮긴 것이다(http://db.history.go.kr/url.jsp?ID=np)

1906년 8월 10일 인가를 받아 창간되었는데 실제 창간호는 9월 1일 발간되었다. 통감부의 기관지로 발행되었으며 일제의 한국병합과 함께 조선총독부의 기관지가 되었다. 일제는 한국을 병합하면서 총독부의 기관지로서 일제의 총독 정치를 선전할 매체로 일문의 경성일보, 한글의 매일신보, 영문의 서울프레스(The Seoul Press) 세 종을 발간하였다. 매일신보는 한말 항일언론이었던 大韓每日申報가 그 전신이었는데 일제는 대한매일신보를 매일신보로 개제하면서 총독부의 기관지로 삼았다. 그리고 매일신보사를 경성일보사로 통합시켜 하나의 신문사로 만들었다. 따라서 경성일보는 매일신보를 그 산하에 두고 있었으며 1938년 매일신보사가 경성일보사에서 분리되어 독자적 회사가 될 때까지 경성일보 사장은 매일신보 사장을 겸임하고 있었다. 1910년대에는 경성일보 사장 밑에 경성일보 편집국장이 매일신보 국장을 겸임하고 있어서 매일신보는 독자적 편집국을 가지지 못하였는데 1920년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 민간 한글 신문이 창간되면서 경성일보 소속이긴 하지만 매일신보에도 독립된 편집국이 설치되었다. 반면 서울프레스(The Seoul Press)는 독립된 신문사로 남아 있다가 1930년에 경성일보에 통합되었다.

통감부 기관지 경성일보는 당시 통감 伊藤博文의 주도적 활동에 의해 창간되었다. 伊藤은 일제의 통감 정치를 적극적으로 선전할 목적으로 당시 주한 일본공사관 기관지였던 漢城新報와 일본인 菊池謙讓이 발행하던 大東新報를 매수하여 경성일보를 창간하였다. 경성일보라는 명칭도 伊藤이 직접 택한 것이라고 한다. 창간 초기 사장은 통감부 촉탁이자 조선신문의 편집장이던 伊東祐侃이 맡았으며 초기에는 일본어판과 한국어판을 함께 발행하였다. 1907년 4월 21일부터 한글판 발행이 중지되고 일본어판만 발행되었다. 1908년 6월에는 大岡力이 2대 사장으로 취임하였는데 大岡力은 중앙통신 부사장을 역임한 인물로 1910년 9월에 물러났다.
합방 후 매일신보를 흡수한 경성일보에 대한 일체의 책임은 일본인 德富猪一郞이 맡게 되었다. 德富는 일본의 거물 언론인이자 정치인으로 당시 일본 귀족원의 의원이며 國民新聞의 사장이기도 하였다. 德富는, 자신의 부하라 할 수 있는 吉野太左衛門을 경성일보 사장 겸 주필로 취임시키고 자신은 일본에 머물면서 이를 감독하였다. 吉野는 일본에서 국민신문의 이사, 편집장 겸 정치부장을 역임한 인물로 취임 당시 30여세의 젊은 인물이었다. 1914년 8월 사임한 吉野의 뒤를 이어 경성일보 사장으로 취임한 인물은 阿部充家이다. 阿部도 德富 휘하의 국민신문에서 활동하던 인물로 1920년대 조선총독 齋藤의 정치 참모 역할을 하면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에 앞장서 한국 지식인들을 회유한 활동으로 유명하다. 阿部는 1918년까지 사장으로 재임하였는데 1918년 6월 德富가 감독직에서 물러나며 경성일보에서 손을 떼자 阿部도 함께 사장직에서 물러났다. 그 뒤를 이어 加藤房藏이 사장으로 취임하였는데 加藤은 1921년 2월까지 경성일보 사장으로 재임하였다. 그 후 잠시 大原利武가 사장을 맡았다가 이어서 1921년 6월에 외교관 출신인 秋月左都夫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秋月이 사장으로 재임하던 1923년 초에 경성일보는 면수를 8면에서 10면으로 늘렸으며 발행 회수도 朝夕刊으로 하루 2회 발행하였다. 1924년 8월부터는 일본 귀족원 의원인 副島道正이 사장을 맡았는데 그는 1927년 12월까지 재임하였다. 副島는 1871년 생으로 백작 작위를 이어 받은 일본의 귀족가 출신이다. 副島는 1925년 11월 경성일보에 <총독정치의 根本義>라는 논설을 쓰면서 총독 정치 운용에 경성일보가 행한 역할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경성일보는 총독부 기관지로 총독부 정책을 미화하여 선전함과 아울러 총독부의 전반적 정책 기조에 대해 미리 여론을 타진하는 역할도 한 것이다. 총독부에서는 공식적으로 조선의 자치를 허용할 계획이 없었지만 재조선 일본인들 중 몇몇은 조선에 독자적 의회를 설치하는 조선자치론에 대해 검토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조선에 의회를 설치하자는 자치론이 민족주의 우파를 중심으로 조선인에게 동요를 가져오자 비공식적으로 이 계획에 대해 검토하게 되었고 그 때 자치론에 대한 논의를 이끌기 위해 副島가 경성일보 지면을 통해 자치론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副島의 논설은 재조선 일본인 단체와 조선인 친일파단체의 맹렬한 비판을 받았으며 논설 발표 직후 얼마간 자치론을 둘러싸고 일본인 사이에 공방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조선 내 민족주의 우파 계열 인사들은 자치론이 총독부의 정책 구상과 관련 있는지의 여부를 살피는 등 관심을 나타내었다. 경성일보 사장 副島의 자치론 논설은 총독부와의 은밀한 협의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경성일보가 총독부의 정책 선전과 아울러 총독부에서 비공식적으로 여론을 타진하기 위한 창구로서 기능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副島에 이어서 부사장이던 松岡正男이 사장을 맡게 되었다. 松岡은 1890년 생으로 1926년 경성일보사에 입사했으며 식민정책 등의 저술을 낸 식민학자로서도 알려져 있는 인물이었다. 1931년 10월에 松岡에 이어 池田秀雄이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池田은 1880년 생으로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하였으며 문관고등시험 합격 후 관료로서 경력을 쌓은 인물이다. 1924년 12월부터 1928년 3월까지 조선총독부 식산국장을 지냈으며 이후 경성일보 사장 취임 전까지 일본 북해도장관으로 재직하였다. 1932년 池田이 사임한 이후 1930년대에는 時實秋穗, 高田知一郞, 田口弼一이 차례로 경성일보 사장을 역임하였다. 時實은 1881년 생으로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관료로 성장한 인물로 1919년 충청남도 지사로 부임하면서 조선에 들어와 이후 조선총독부 감찰관, 경기도 지사 등을 거친 인물이다. 총독 宇垣의 퇴관 후 南次郞의 부임과 함께 1936년 9월 경성일보 사장이 된 高田은 일본 언론계에 종사하던 인물로 일본의 報知新聞의 간부로 있다가 時實이 사장으로 있던 1933년 무렵 경성일보에 입사하였다. 田口는 동경제국대학 출신으로 내무성, 중의원 서기관 등의 경력을 쌓은 인물로 1938년 중의원 의원이 되면서 경성일보의 사장을 맡게 되었다. 이 시기에 京日小學生新聞이 1938년 4월 28일자로 발행 인가를 받아 경성일보의 자매지 형태로 발행되었다. 1939년 田口에 이어 御手洗辰雄이 사장이 되었다. 御手洗辰雄은 일본 언론계에 종사하던 인물로 일본 報知新聞에 근무하다가 1936년 高田에 의해 東京 在住의 경성일보 부사장이 되면서 경성일보에 들어온 인물이다. 御手洗辰雄은 1942년 7월에 사임하였으며 이어서 高宮太平이 사장으로 취임하였는 高宮太平은 1945년 8월까지 재직한 경성일보사의 마지막 사장이다.

경성일보 사옥은 해방 후 신문 제작 설비의 접수를 둘러싼 갈등을 낳는 등 한국 신문의 역사에서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원래 경성일보 사옥은 남산 북녘 아랫자락 즉 당시 서울로 보아서는 남쪽에 자리잡고 있었다. 이 일대는 일본 세력의 거점이었던 곳으로 경성일보사는 이 지역 중 大和町(현재의 필동)에 있었다. 1914년에 태평로로 사옥을 옮기면서 현재의 서울시청 자리에 터를 잡았다. 그런데 1923년 화재로 경성일보 사옥이 불타면서 그 자리가 당시 경성부청을 신축 이전하기 위한 부지로 선정되었다. 경성일보사는 경성부와 협의하여 25만원의 보상비를 받는 대신 사옥 부지를 양도하고 그 인접한 땅(현재의 프레스센터 자리)에 신사옥을 짓기로 하였는데 신사옥은 1924년 6월 15일 완공되었다. 새로 지은 경성일보사의 사옥은 건물 규모에 비해 현관 크기가 매우 작았는데 의열단 등 한국의 민족해방운동세력의 습격을 두려워하여 현관을 작게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1940년 조선일보, 동아일보가 폐간되면서 인쇄시설을 경성일보에 넘겼기 때문에 1945년 해방 직후에는 경성일보만이 제대로 된 인쇄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해방 직후 자신의 사상 정책을 선전할 신문 발간을 서두르던 좌우의 여러 정치세력에게는 경성일보사 사옥 장악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경성일보사의 접수를 처음 기도한 세력은 조선건국준비위원회였는데 일본군의 반발로 무산되었으며 미군정이 들어선 이후에는 군정으로부터 관리인이 파견되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도 해방 직후 속간하면서 경성일보의 인쇄 시설을 이용하여 신문을 발행하였다.

경성일보의 발행부수는, 총독부 자료에 따르면 1929년, 1933년, 1935년, 1939년 각각 26,352부, 35,592부, 34,294부, 61,976부이다. 대체로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발행 부수와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어 있는데 당시 조선에서 발행되던 일본어 신문 중에는 단연 으뜸이다. 그렇지만 일본에서 발행되던 일본어 신문의 조선 이입 부수에 비하면 그 수치가 상당히 적다. 일본에서 발행되어 조선에 들어 온 일본어 신문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 大阪每日新聞과 大阪朝日新聞이 가장 인기가 있었다. 1929년 기준으로 경성일보 발행 부수가 26,000부 정도인데 반해 大阪每日新聞과 大阪朝日新聞의 조선 이입 부수는 각각 48,853부, 41,572부이다. 일본어 신문에 대해서는 당시 조선에서 발행되던 신문보다는 일본에서 발행되어 한국에 수입되어 들어온 신문이 더 선호되었다. 大阪每日新聞과 大阪朝日新聞은 조선에서 인가를 받아 발행된 것은 아니지만 조선판을 만들어 들여보내며 조선에서의 기반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총독부 측 자료에서도 大阪每日新聞과 大阪朝日新聞 등이 조선 현지 발행 일본어 신문에 비해 조선판 기사의 내용이나 보도 속도 등이 오히려 더 나을 정도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같은 사정으로 인해, 총독부 기관지여서 경영상의 압박을 받지 않는 경성일보를 제외하면 나머지 조선 발행 일본어 신문은, 경성일보와 더불어 3대 신문이라고 하는 朝鮮新聞, 釜山日報조차도 경영상 크게 압박을 받고 있었다.

열람조건

목록 공개자료

이용조건

이용 가능(출처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