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은 한국사 연구를 위한 다양한 사료를 수집하여 그 출처를 기준으로 계층별로 정리 서비스함으로써 사료의 계통과 맥락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각 계층은 기록물 정리 체계에 따라 사료군, 사료계열(하위사료계열), 사료철, 사료건으로 구성되며 사료의 종류에 따라 고서, 고문서, 근현대문서, 단행본, 연속간행물, 지도도면자료, 구술자료, 녹음영상자료, 사진시각자료, 박물자료 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 사료의 출처별 검색이나 사료명, 생산자, 내용정보, 이력정보, 위치정보 등에 문자열(키워드) 검색을 통해 원하는 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고 해당 자료가 ‘어떻게 생산되었는지‘와 같은 이력이나 정리체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자사료관에서 찾은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 사료관 열람실을 방문하시면 학술 연구 목적이라면 언제든지 자료를 열람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작권에 저촉되지 않는 자료에 한하여 해당 목록과 함께 원문을 디지털 이미지로 제공하고 있으며 전자사료관의 모든 원문 이미지의 이용에 관하여는 저작자나 출처 등을 표시할 경우 자유 이용이 허락되나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전자사료관은 국내외 사료를 출처별로 다음과 같이 정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국내 수집 자료
① 지역사 자료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2000년부터 전국 각 지역의 근현대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시군 단위를 기준으로 매년 과제가 수행되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각 시군을 사료군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시군 단위의 과제 이외에도 ‘제주도 근현대 마을회의록’자료처럼 특정 주제별로 자료가 수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체 지역사 사업으로 수집된 사료군의 목록을 보려면 상세검색화면에서 검색조건을 사료명으로 선택한 후 ‘지역사’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 지역별, 주제별 자료입니다.

강원 강릉시, 강원 양구군, 강원 영월군, 강원 원주시, 강원 춘천시, 강원 평창군, 강원 홍천군, 강원 횡성군,강 원도 인제군, 경기 김포시, 경기 남양주시, 경기 수원, 경기 시흥시, 경기 안산시, 경기 안성, 경기 안양시, 경기 양주시, 경기 용인, 경기 파주시, 경기 하남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남 고성군, 경남 김해시, 경남 남해군, 경남 밀양시, 경남 창원, 경남 하동군, 경남 함안군, 경북 경산시, 경북 고령군, 경북 김천시, 경북 문경시, 경북 상주시, 경북 성주군, 경북 안동시, 경북 영주시, 경북 영천시, 경북 예천군, 경북 의성군, 경북 청도, 경북 칠곡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익산 구 이리농림학교, 전남 고흥군, 전남 구례군, 전남 나주, 전남 목,포시, 전남 순천시, 전남 여수시, 전남 영광군, 전남 함평군, 전남 해남군, 전남 화순군, 전북 고창군, 전북 김제시, 전북 부안군, 전북 완주군, 전북 익산시, 전북 임실군, 전북 전주, 전북 진안군, 제주 남제주군, 제주 제주시, 충남 공주시, 충남 논산시, 충남 연기군, 충북 괴산군, 충북 단양군, 충북 제천시, 충북 진천군, 충북 충주시의 지역별 수집 자료와 18세기~일제하 개성 송상 회계자료, 경상남도 고성군 玉泉寺 수집 자료, 곡성 구례 지역 근현대 교육사 자료, 광주광역시 수리조합 수집자료, 서울 상영 영화 포스터 자료, 인천시 근대 상공업 관련 수집자료, 전라북도 천주교회 관련 자료, 제주도 근현대 마을회의록 수집자료, 제주도 근현대 마을회의록 수집자료, 충남지역 근현대 교육자료, 충북 지역 근대 종교 관련 자료, 충주엽연초생산조합 수집자료, 충청북도 새마을운동 관련 수집자료, 풍산류씨 화경당(북촌댁)문중 소장 근현대자료 등의 주제별 수집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② 국내 주요 기관·가문 수집 고서 고문서류 국사편찬위원회는 1960년대부터 국내의 봉화 진주강씨, 경주 여주이씨, 성주 성산이씨, 예천 함양박씨, 보은 화순최씨 등의 주요 가문과 토지박물관, 강릉시립박물관 등 주요 기관의 소장 고문서를 조사·수집·정리하여 왔습니다. 고서·고문서의 수집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직접 수집하는 직접수집과 수집 지원 사업을 통한 간접수집으로 이루어집니다. 간접수집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직접수집은 초창기부터 꾸준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국내 고서·고문서 수집 사업을 통해 이루어진 사료군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강릉시립박물관 소장 자료, 강원 동해 최광석 소장 강릉최씨 자료, 강원 동해시 용산서원 문서, 강원도 강릉시 수집 고서 고문서, 강원도 동해시 강릉김씨 소장 족보, 강원도 동해시 수집 자료, 강원도 정선군 수집 고서 고문서, 강원도 횡성군 수집 자료,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 강원지역 문헌 사료,강진 창녕조씨 낭장공파 문서, 거제군 復郡 자료 및 거제군 사료, 거창 밀양변씨가 문서, 거창 상산김씨 소장 고문서, 경기 지역 문집·고문서, 경기도 과천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광명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광명시 전주이씨 소장 자료, 경기도 군포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김포시 수집 자료, 경기도 성남시 수집 자료, 경기도 수원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안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안산시 순천김씨 소장 자료, 경기도 안양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양주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양주시 죽산안씨 소장 자료, 경기도 양평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오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도 용인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기지역 고문서, 경남 고성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남 남해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남 산청 도천서원 소장 자료, 경남 산청군 단성면 신안서사 문서, 경남 산청군 수집 자료, 경남 창원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남 통영 장택고씨 소장 자료, 경남 통영시 수집 자료, 경남 합천 노백서사 소장 자료, 경남 합천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경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고령 지역 고서 고문서, 경북 구미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봉화 진주강씨 백초 후손가 자료, 경북 봉화 진주강씨 충렬공 종손가 고문서, 경북 봉화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봉화군 진주강씨 만산고택 소장 자료, 경북 봉화군 해저리 의성김씨 자료, 경북 성주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안동 광산김씨 설월당종택 자료, 경북 안동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영주시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예천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예천군 조동윤 소장 자료, 경북 울진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의성군 아주신씨 소장 자료, 경북 청도군 재령이씨 소장 자료, 경북 칠곡군 수집 고서 고문서, 경북 칠곡군 지역사 조사 수집 자료, 경주 경주손씨 서백당 소장 자료, 경주 독락당 소장 자료, 공주향교 수집자료,관동대학교 박물관 소장 고문서, 광주 전남 지역 향교 소장 문서, 광주 전남 지역 향교 소장 문서, 괴산 불정면 대동계 자료, 남원향교 수집 자료,논산 명재종택 문서, 논산부황리 파평윤씨 문서, 대구 경주최씨 소장 고문서, 대구 단양우씨 소장 자료,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사 수집자료, 대전 박천옥 소장 고문서, 대전 최빈규 소장 고서 고문서, 대전 충남 지역 향교 소장 고문서 전적, 대전 충남 지역 향교, 근대 학교 관련 자료, 대전시 수집 고서 고문서, 동해 김남용 소장 자료, 밀양 광주 안씨 모렴당 자료, 보은 화순최씨 소장 자료, 부산 울산 경남 지방 향교 소장 고문서와 전적, 부산·울산·경남 지역 고문서와 근현대문서, 부산시 수집 자료, 삼척시립박물관 소장 자료, 서산 파평윤씨 양평공파 문서, 서울 성북구 한국자료연구소 소장 고문서, 서울 지역 수집 고서 고문서, 서울 화곡동 진주하씨 소장 자료, 성남 토지박물관 소장 문서, 성주 성산이씨 한주종택 고문서, 성주 이해진 소장 고서 고문서, 安東 義城金氏 龜尾派 文書, 안동 전주류씨 함벽당 종가 문서, 연기향토박물관 소장 자료, 영동지역 개인 및 문중 소장 고문서, 고서, 영동지역 문헌 사료, 영서지역 문헌 사료, 영주시 소수박물관 소장 자료, 예천 금당실 함양박씨 문서, 예천 청주정씨 약포종택 소장 사료, 옥천향토전시관 소장 사료, 울산 학성이씨 소장 고문서, 울산·울주지역 고서 고문서 자료, 원주지역 문헌사료, 伊助里 慶州崔氏 및 龍山書院 문서, 인천 용인이씨 자료, 인천시 강화군 수집 고서 고문서, 인천지역 문헌 사료, 임실 둔덕이씨(전주이씨) 자료, 자인향교 소장 자료, 장수향교 소장 고문서, 전남 강진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광양시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구례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나주시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담양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목포시 수집 자료, 전남 완도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장성 기준서 소장 행주기씨 자료, 전남 장성지역 문헌 사료, 전남 장흥군 수집 자료, 전남 장흥군 용산면 마을 문서, 전남 함평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해남 윤병진 소장 자료, 전남 해남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남 화순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고창 성내 지역 문헌 사료, 전북 고창 전주이씨 장천군파 자료, 전북 고창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김제 부안 정읍 고창 지역 문헌 사료, 전북 김제시 수집 자료, 전북 남원시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무주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익산시 송상규 소장 자료, 전북 익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정읍 김환재 소장 도강김씨 자료, 전북 정읍시 수집 고서 고문서, 전북 진안군 수집 고서 고문서, 제주지역 고문서, 제주향교 및 삼성사 소장 고문서, 청송 청송심씨 문서, 충남 계룡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논산시 무안박씨 노성파 소장 자료, 충남 논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보령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부여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서산시 수집 자료, 충남 서천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아산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아산시 지역사 조사 수집 자료, 충남 연기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예산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예산군 영산신씨 소장 자료, 충남 천안시 수집 자료, 충남 청양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남 홍성군 결성면 김녕김씨 소장 사료, 충남 홍성군 수집 자료, 충북 괴산 전주이씨 소장 자료, 충북 괴산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단양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도내 향교 소장 고문서, 충북 보은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영동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옥천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음성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제천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증평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진천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청원군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청주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충주 우홍식 소장 단양우씨 자료, 충북 충주시 수집 고서 고문서, 충북 항교 소장 고문서, 충북지역 향약 조합 관련 자료, 충주박물관 소장 고서 고문서, 漆原鄕校 소장 자료, 해남 순창조씨 문서, 호서 지역 문중 소장 고문서, 화성 김진영 소장 자료 등이 있습니다.
③ 일제 시기 중추원 자료 일제 시기 총독의 자문 기관이면서 舊관습 조사 등의 업무도 담당한 중추원의 자료 일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들 자료도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중추원 자료’라는 사료군 아래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④ 일제 시기 조선사편수회 자료 일제 시기 한국 역사를 일제의 의도에 맞게 연구하고 한국사(조선사)를 편찬하는 역할을 담당한 기관인 조선사편수회의 자료를 해방 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괄 접수하였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에 보관된 舊조 선사편수회의 자료를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조선사편수회 자료’ 사료군 아래에 일괄 정리하였습니다.
국외 수집 자료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2000년 이후 국외 소재 한국사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① 미국·캐나다 수집 자료 미국의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뉴욕 분관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ew York),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라구나 니구엘 분관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Laguna Niguel), 공군역사연구소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닉슨도서관 (Richard Nix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루즈벨트도서관 (Franklin D. Roosevelt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마샬도서관 (George C. Marshall Library), 맥아더문서관 (MacArthur Memorial), 메릴랜드대학 맥켈딘도서관 (McKeldin Library), 미시간대학 벤틀리역사도서관 (Bentley Historical Library), 서던캘리포니아대학 한국학도서관 (Korean Heritage Library), 스탠포드대학 후버연구소 문서관 (Hoover Institution Library and Archives), 아이젠하워도서관 (Dwight D. Eisenhow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아칸소대학 멀린도서관 (David W. Mullins Library), 에모리대학교 피츠신학도서관 (Pitts Theology Library), 예일대학 (Yale University), 육군대학 도서관 (Library of Army War College), 육군역사연구소 (United States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의회도서관 (Library of Congress), 장로교 역사연구소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조지워싱턴대학 국가안보문서관(National Security Archives), 존슨도서관 (Lyndon B. Johnso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카터도서관 (Jimmy Cart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케네디도서관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텍사스대학 페리캐사네다도서관 (The Perry-Castañeda Library), 트루만도서관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퍼시픽대학 홀트어서튼특별콜렉션 (Holt-Atherton Special Collections), 포드도서관 (Gerald R. Ford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포모나대학 호널드-머드도서관 (Honnold-Mudd Library), 프린스턴대학 동아시아도서관 (East Asian Library), 프린스턴대학 파이어스톤도서관 (Firestone Library), 하버드대학 하버드-옌칭도서관 (Harvard-Yenching Library),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Korea Institute), 하와이대학 한국학연구소 (Center for Korean Studies), 하와이대학 해밀턴도서관 (Hamilton Library), 해군부 기록보존소 (Naval Operational Archives of the Department of Navy), UCLA대학 동아시아도서관 (East Asian Library), UC버클리대학 밴크로프트도서관 (Bancroft Library)등지에서 수집한 한국 관련 미국 소재 자료와 캐나다 도서관-문서보관소(Library and Archives Canada), 토론토대학 동아시아도서관(East Asian Library), 토론토대학 희귀자료도서관(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에서 수집한 캐나다 소재 자료를 출처별 d열람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② 중국·대만 수집 자료 중국의 길림성 당안관(吉林省 檔案館), 남경시 당안관(南京市 檔案館), 상해시 당안관(上海市 檔案館), 상해시 도서관(上海市 圖書館), 연변조선족자치주 당안관(延邊朝鮮族自治州 檔案館), 요녕성 당안관(遼寧省 檔案館), 중경시 당안관(重慶市 檔案館), 중국 국가도서관(中國 國家圖書館), 천진시 당안관(天津市 檔案館), 흑룡강성 당안관(黑龍江 省檔案館), 흑룡강성 사회과학원(黑龍江省 社會科學院 地方黨史硏究所)으로 부터 수집한 중국 소재 한국자료와 대만의 국립고궁박물원 도서관(國立故宮博物院 圖書館), 국사관(國史館),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중화민국 국방부 사정국(中華民國 國防部 史政局), 중화민국 외교부 당안고(中華民國 外交部 檔案庫)의 대만 소재 한국자료가 소장처를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③ 일본 수집 자료 일본 가나가와현립공문서관(神奈川縣立公文書館), 가와사키시 후레아이관(川崎市 ふれあい館, 靑丘社), 가쿠슈인대학(學習院大學), 고베대학(神戸大学), 교토대학(京都大學), 국립공문서관(國立公文書館), 국립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國立國會圖書館 憲政資料室), 국립국회도서관(國立國會圖書館), 국문학연구자료관(國文學研究資料館), 궁내청 서릉부(宮內廳 書陵部), 규슈대학(九州大學), 금병동 소장 자료(琴秉洞所藏資料), 나가사키현립쓰시마역사민속자료관(日本長崎縣立對馬歷史民俗資料館), 도요문고(東洋文庫), 도쿄대학(東京大學), 도쿠토미소호기념시오자키재단 도쿠토미소호기념관(徳富蘇峰記念鹽崎財団 徳富蘇峰記念館), 방위성 방위연구소(防衛省防衛硏究所), 사가대학(佐賀大學), 시가대학(滋賀大學), 시가현립대학(滋賀縣立大學), 시부사와에이치기념재단 시부사와사료관 (渋沢栄一記念財団 渋沢史料館), 신아이주쿠 재일외국인교육생활상담센터(信愛塾 在日外國人敎育生活相談センタ―), 쓰쿠바대학(筑波大學), 아이치현 안조시 역사박물관(愛知県 安城市 歷史博物館), 야마구치현문서관(山口縣文書館),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외무성 외교사료관(外務省 外交史料館), 요코하마개항자료관(横浜開港資料館), 이와테현 오슈시립사이토마코토기념관(岩手縣 奧州市立齋藤實記念館), 일한인역사자료관(在日韓人歴史資料館), 재일본기독교교회협의회(日本基督敎敎會協議會, JNCC), 재일한인문제연구소(在日韓國人問題硏究所, RAIK), 호세대학(法政大學), 홋카이도개척기념관(北海道開拓記念館), 홋카이도대학(北海道大學) 등의 주요 한국 관계 자료와 이외에도 대일(對日) 과거사 정리 소송 자료, 요코하마시사자료실(橫濱市史資料室 ) 소장 일본강관(日本鋼管) 관련 자료, 일본 소재 한국사료 관련 간행 자료집류,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본부 소장 자료, 개인 제공자료 등의 일본 소재 수집자료가 소장처를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④ 유럽·러시아 지역 수집 자료 러시아 소재 자료로는 러시아 국립경제문서보관소(РГЭА), 러시아 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러시아 국립도서관(Россий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러시아 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социально-политической истории), 러시아 국립역사문서보관소(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 러시아 국립역사문서보관소(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 러시아 국립현대사문서보관소(Росси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архива новейшей истории), 러시아 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Центральный архив Минобороны России), 러시아 대외정책문서보관소(АВПР), 러시아 민족도서관(Российская национальная библиотека), 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ГАРФ), 소련과학아카데미 아시아민족연구소(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Институт Народов Азии), 이르쿠츠크 국립문서보관소(ГАИО), 제정러시아 대외정책문서보관소(АВПРИ), 하바로프스크 국립문서보관소(ГАХК) 등의 러시아 소재 한국관련 자료가 정리되어 있고 이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국립중앙문서보관소(ЦГА УССР), 타쉬켄트 국립문서보관소(ТГА, Узбекистан), 카자흐스탄의 딸듸꾸르간 국립문서보관소(ТГА, Казахстан), 카자흐스탄공화국 국립중앙문서보관소(Централь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카자흐스탄공화국 대통령문서보관소(Администрация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등의 한국관련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국 소재 자료로는 국립문서보관소(The National Archives), 버밍엄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서자료실(Special Collections Department, Main Library)등의 한국관련 자료가 정리되어 있으며, 독일 자료로는 독일연방 문서보관소(Bundesarchiv), 독일연방 문서보관소-코블렌츠(Bundesarchiv-Koblenz), 독일연방 문서보관소–프라이부르그(Bundesarchiv-Freiburg), 독일연방 외무성 정치문서보관소(Archives des Auswärtigen Amts), 뮌스터대학 도서관(Universität Münster) 등의 한국관련 자료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탈리아자료로는 국방부 육군역사기록물보존소(Archivio Storico dell’Essercito Italiano), 외무부 역사외교기록물보존소(Archivio Storico Diplomatico -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해군부 해군역사기록물보존소(Ufficio Storico della Marina) 등의 한국관련 자료가 정리되어 있으며, 프랑스자료로는 외무부 문서보관소-파리(Archives d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a Paris) 소장 한국관련자료가 있습니다.
⑤ 기타 이 외에도 NAI(인도 국립공문서관)소장 외무부 문서 등의 인도 소재 한국관련 자료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문서보관소(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호주 전쟁기념관(AWM) 등의 한국관련 자료가 일부 수집되어 있습니다.